본문 바로가기
ETF에 대해서 알아보자

TER 자동 조회 도구 사용법, 장기 수익률 시뮬레이션

by mynews74406 2025. 9. 4.
반응형

 

TER 자동 조회 도구 사용법, 장기 수익률 시뮬레이션

TER 자동 조회 도구 사용법, 장기 수익률 시뮬레이션

ETF 투자에서 TER(총보수) 비교는 장기 성과를 가르는 핵심입니다. 이 글은 자동 조회 도구 활용법과 복리 시뮬레이션 방법을 한 번에 정리합니다. (2025년 9월 관점)


1) 왜 TER 자동 조회인가?

  • 비용 통합 시야: 운용보수·기타비용·스와프·피투자ETF 보수 등 실질 TER을 한눈에.
  • 속도: 상품설명서 수작업 대신 1분 내 순위/추이 파악.
  • 품질: 테마형·재간접·합성 ETF의 숨은 비용을 자동 필터로 확인.

2) 실전 사용법 (빠른 루틴)

  1. 플랫폼 접속(예: ETF 비교/진단 서비스).
  2. ETF명/코드 입력 → 총보수·TER·기타비용 표 확인.
  3. 동일지수/동일테마 내 TER 순위누적 TER 차트 비교.
  4. 추적오차·괴리율·유동성 지표 함께 체크.

3) 데이터 해석 꿀팁

  • 소수점 함정: 운용보수 0.03% vs 0.05%의 표면 차이는 작아도, 실질 TER·괴리율까지 통합하면 장기 결과가 크게 갈립니다.
  • 비용 필드: ‘피투자ETF 보수’·‘스와프비용’·‘기타비용’ 노출 여부를 반드시 확인.
  • 성과와 함께: TER만 보지 말고 유동성·추적오차·구성 종목 분포도 병행.

4) 장기 복리 시뮬레이션(예시)

가정 메모
연 평균 수익률 7% 시장 평균 가정
투자 기간 20년 장기 보유
초기 투자금 1억 원 일시 투자
TER 비교 0.006% vs 0.15% vs 0.25% 자동 도구로 시각화

동일 가정에서 최저 TER 상품은 20년 뒤 수백만원 단위의 잔고 차이를 만듭니다. (배당 재투자·추가 매수 등 조건에 따라 상이)

5) 포트폴리오/계좌 적용 팁

  • 코어-위성: 코어(광범위 지수)는 저 TER 최우선, 위성(테마/액티브)은 비용 대비 알파 검증.
  • 계좌: ISA·연금 등 절세계좌를 우선 활용(세후 성과 중심).
  • 자동화: 급여일 +1영업일 자동이체·자동매수(DCA) + 분기 리밸런싱.

6) 실행 체크리스트

  1. 동일지수·동일테마 내 TER 순위누적 TER 차트 확인
  2. 추적오차·괴리율·유동성 병행 확인
  3. 배당 재투자(DRIP)/수수료·환율 변수 반영 시뮬레이션
  4. 6~12개월 리밸런싱, 목표 비중 ±5% 밴드

7) 자주 틀리는 포인트

  • “국내 상장 ETF=모두 매매차익 비과세” 아님 → 비주식형(해외·채권·원자재)은 15.4% 과세(과표기준가 규정 포함).
  • “운용보수만 낮으면 끝” 아님 → 실질 TER과 괴리율·유동성까지 통합.
  • “분배금=확정 이율” 아님 → 운용정책·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입니다. 세법·상품 조건·수수료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최종 결정 전 운용사 공시·약관·국세청 안내를 확인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