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TF에 대해서 알아보자

인덱스 ETF와 액티브 ETF 차이 완벽 정리

by mynews74406 2025. 9. 3.
반응형

 

인덱스 ETF와 액티브 ETF 차이 완벽 정리

인덱스 ETF와 액티브 ETF 차이 완벽 정리

핵심은 운용 철학(지수 추종 vs 초과수익 추구), 비용(TER), 성과/변동성, 세금/계좌입니다. 2025년 관점에서 초보자도 바로 적용할 수 있게 정리했습니다.


1) 운용 철학이 다르다

  • 인덱스(패시브): 코어 지수(KOSPI200, S&P500 등) 그대로 추종 → 저비용·분산·예측가능성.
  • 액티브: 비교지수+α 전략으로 초과수익을 노림 → 아이디어·리스크 관리 역량 중요.

2) 구성·리밸런싱·비용

  • 구성: 인덱스는 지수 구성 종목 중심, 액티브는 매니저 재량 비중 확대 가능.
  • 리밸런싱: 인덱스는 정기 규칙 기반, 액티브는 수시 조정.
  • 비용(TER): 인덱스가 일반적으로 낮고, 액티브는 전략·운용 인건비 등으로 높아지는 경향.

3) 성과·변동성·리스크

  • 강세장/테마 랠리: 액티브가 초과수익 낼 여지 ↑
  • 금리·경기 둔화 구간: 인덱스의 분산·저비용이 유리
  • 장기 관점: 저 TER·규칙 기반 리밸런싱의 복리 효과 체감

4) 세금·계좌 메모(국내 기준)

  • 국내 상장 주식형: 매매차익 비과세, 분배금 15.4%.
  • 국내상장 해외·채권·원자재: 매매차익 또는 과표기준가 증가분 중 작은 금액에 15.4% 과세, 분배금도 15.4%.
  • 계좌: ISA(순이익 비과세 한도 + 초과분 9.9% 분리과세), 연금계좌(과세이연·저율 분리과세) 우선 검토.

5) 누구에게 어떤 ETF가 맞을까?

투자자 유형 추천 축 근거
초보·장기 성장 인덱스 코어 저비용·분산, 규칙 기반 운용
경험자·테마 활용 액티브 위성 아이디어·전략 반영, 초과수익 잠재
혼합형 인덱스 70% + 액티브 30% 복리 안정성 + 알파 추구 균형

6) 실행 체크리스트

  1. 동일지수 내 TER 최저 + 유동성 충분한 ETF 선택
  2. 급여일 +1영업일 자동이체·자동매수(DCA) 설정
  3. 리밸런싱 규칙 명시(6~12개월·±5%) 및 알림 ON
  4. 테마/액티브는 비중 제한(10~30%) 및 성과 점검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입니다. 세법·상품 조건·수수료는 변동될 수 있으니 최신 공시와 약관을 확인한 뒤 결정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