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급여‧기초생활진입선: “1 인가구 114만 원” 숫자를 기억하라]
50대 싱글맘·싱글대디의 주거비를 단숨에 낮추는 첫 길은 **주거급여 단독세대 기준 중위소득 48 %**이다. 2025년 1 인가구 컷오프는 월 소득인정액 1 ,148 ,166 원, 이를 1원이라도 밑돌면 전·월세 실제임차료의 90 %까지 현금이 들어온다. 가입 절차도 간단하다. 주민센터에 ①월세 계약서 사본, ②건강보험료 납부내역, ③소득금액증명만 들고 가면 즉시 신청이 접수되고, 보증금 대출이 있다면 이자 0.96 %짜리 전세금 반환 특례보증이 자동으로 연결된다. 무엇보다 부양의무자 기준이 폐지됐기 때문에 전혀 도움을 받지 못하던 ‘친정집·시댁 재산 有’ 싱글부모도 문턱을 넘을 수 있다. 체크포인트는 단 하나—소득·재산 변동 신고를 매년 9월에 해야 다음 해 삭감 없이 혜택이 이어진다는 사실이다.
[LH 행복주택 × 공공실버하우징: 한부모 우선공급 10 % 슬롯 선점법]
LH가 공급하는 행복주택·실버하우징은 한부모가구에게 전체 물량의 10 %를 우선 배정한다. 공공임대라 월세가 주변 시세의 60 % 수준인데다, 고령자·한부모 전용 동(棟)에는 공동 식당, 간병 SOS 벨, 24 시간 CCTV가 기본이다. 신청 매뉴얼은 ‘입주자모집공고 일자 → 보증금 스펙 맞추기 → 무주택확인서 동시 제출’ 순. 특히 맞벌이 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평균 120 %를 넘지 않아야 하므로, 7월 이면 “자녀 명의 ISA로 배당소득 분산” 을 조정해 소득을 컷 아래로 낮추는 것이 필수다. 당첨 뒤에도 최대 20년까지 거주 연장이 가능하지만 ‘재계약 2개월 전 건강검진표·소득확인서’ 두 장이 누락되면 바로 퇴거 통보가 날아오므로, 휴대폰 캘린더에 “재계약 D-60 서류 알림” 을 촘촘히 걸어 두자.
[건보 본인부담 3 % 캡과 장기요양 등급 4년 갱신으로 ‘의료 쇼크’ 막기]
근로소득이 사라지면 직장건보가 지역건보로 전환돼 보험료가 확 튄다. 2025년부터 시행된 “저소득 한부모 보험료 60 % 감경 + 본인부담 상한 3 %” 규정을 활용하면 월 평균보험료 6 만 원대, 연간 자기부담의료비 60만 원 절벽선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 유효기간이 개정돼 1등급 5년, 2 ~ 4등급 4년으로 늘어 갱신 스트레스를 크게 덜었다. 실전 팁은 ①장기요양인정 신청서를 ‘온라인통합창구’로 넣고 ②치매가 의심되면 20만 원짜리 공단 지정 “치매가족 상담비” 를 먼저 환급받아 진단비를 절약하는 것이다. 이 두 제도를 엮으면 75세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연 400만 원대 의료·간병비가 절반 이하로 눌린다.
[국가암검진 × 한부모 의료바우처: “무료 + 15 만 원 현금” 이중 혜택]
한부모가구는 모든 연령에서 국가 암 6종 검진(위·대장·간·유·자·폐)이 100 % 무료다. 여기에 2024년 신설된 ‘한부모 의료바우처’ 15 만 원(연 1회)을 겹쳐 쓰면 내시경 조직검사·초음파 같은 추가 비용까지 사실상 0원으로 해결된다. 신청은 복지로 앱에서 ①가족관계증명, ②건강보험료 납부내역을 업로드하면 3분이면 끝나고, 바우처는 국민지원금 카드로 충전돼 병·의원 어디서나 바로 차감된다. 놓치기 쉬운 부분은 ‘검진일로부터 60일 이내 영수증 등록’ 조건이다. 기간을 넘기면 바우처가 소멸하니 검진 예약 후 자동 알림을 켜 두고, 영수증은 상담 창구에서 PDF 스캔 → 복지로 즉시 업로드 로 마무리하자.
[12개월 복지 캘린더: 신청·재계약·갱신 “세 줄”만 기억하면 끝]
혜택이 아무리 많아도 놓치면 무용지물이다. 따라서 ●1월 : 주거급여 재산 확인·소득 변동 신고, ●4월 : 건강보험 소득재산 정기 조사 알림, ●7월 : 행복주택 소득 CUT 맞추기 위한 배당소득 이동, ●9월 : 장기요양 유효기간 D-90 점검, ●11월 : 한부모 의료바우처 신청 & 암검진 예약—이렇게 세 줄 일정표를 스마트폰에 넣어 두면 된다. 마지막 조언은 “수급자 → 수혜자 변경” 알림이다. 자녀가 성인이 되어 소득이 생기면 가구원 수가 줄어 기준이 달라지므로, 가족관계 변동 시 복지멤버십 AI 알림 에서 나오는 ‘가구 재산정’ 푸시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달력만 꾸준히 체크하면 주거·의료·간병 세 축을 국가·지자체 예산으로 대폭 할인받을 수 있고, 그만큼 은퇴자산은 온전히 자녀 교육·여가·비상금으로 남는다—싱글맘·싱글대디에게 “달력 관리가 곧 복지”인 이유다.
'50대 은퇴 예정자를 위한 재무컨설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 50대 은퇴예정자에게 유리한 ‘지역건강보험료 절감’ 4단계 절차 (1) | 2025.07.23 |
---|---|
23. 50대 은퇴 직전 창업을 고려할 때 피해야 할 업종·권장 업종 리포트 (3) | 2025.07.22 |
22. 50대 퇴직예정 금융인도 모르는 ‘사학연금 추가 납입’ 수익률 계산법 (0) | 2025.07.21 |
21. 50대 은퇴예정자라면 준비해야 할 ‘상속·증여세 실수 줄이기’ 로드맵 (0) | 2025.07.20 |
19. 50대 은퇴예정자가 조심해야 할 ‘고령자 대출’ 함정과 안전 장치 (0) | 2025.07.18 |
18. 50대 은퇴예정자를 위한 ‘장기요양·의료비 세액공제 극대화’ 연말정산 꿀팁 모음 (1) | 2025.07.17 |
17. 50대 은퇴 후 귀촌 계획자의 농지·임야 취득세 절감 체크포인트 (0) | 2025.07.16 |
16. 50대 은퇴 직전 디플레·인플레 시나리오별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1) | 2025.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