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TF에 대해서 알아보자

퇴직연금(IRP)과 ETF 투자 방법 정리

by mynews74406 2025. 9. 6.
반응형

 

퇴직연금(IRP)과 ETF 투자 방법 정리 (2025 최신)

퇴직연금(IRP)과 ETF 투자 방법 정리

IRP의 세액공제(연 900만), 과세이연, 연금소득세(3.3~5.5%) 구조와 함께, 2025년 기준 위험자산 70%·안전자산 30% 규정, TDF 유의점, 국내상장 ETF 투자 범위를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1) IRP 기본기: 세액공제·과세이연·연금소득세

  • 세액공제: 연금저축+IRP 합산 연 900만 원까지(소득 구간에 따라 13.2%~16.5%).
  • 과세이연 & 수령세율: 계좌 내 운용수익은 과세이연 → 연금 수령 시 3.3~5.5% 분리과세(조건에 따라 선택 세율 상이).
  • 연금 개시: 통상 만 55세 이후. 중도해지는 세 부담이 커서 비권장.

2) 무엇을 살 수 있나: IRP ETF 투자 규정(2025)

  • 시장: 국내 상장 ETF만 가능(미국 상장 ETF 직접 매수 불가). 해외지수 노출은 국내 상장 해외지수 ETF로.
  • 금지/제한: 레버리지·인버스 불가, 선물형 등 파생위험평가액 40% 초과 ETF 제한.
  • 사업자 차이: 증권사 IRP는 종목 선택과 체결 편의가 유리, 은행 IRP는 라인업 제약이 빈번.

 

3) 위험자산 70%·안전자산 30% 자산배분 예시

생애주기/성향 위험자산(≤70%) 예시 안전자산(≥30%) 예시 코멘트
20~30대 성장형 국내·해외지수 ETF 65~70% 국채·중장기채 ETF, 예·적금 30~35% 낙폭 시 자동적립/리밸런싱
40대 중립형 주식형 ETF 50~60% 채권·채권혼합 ETF 40~50% 변동성 관리 + 성장 균형
50대 보수형 주식형 ETF 30~40% 국공채·우량채 ETF/예·적금 60~70% 현금흐름/방어력 우선

4) TDF·TDF ETF 활용 시 유의점

  • 적격 TDF는 요건 충족 시 100% 편입 가능(70% 한도 예외). 단, TDF ETF 관련 규정 변경 검토 이슈가 있어 정책 공지 수시 확인 권장.
  • “주식형 70% + 적격 TDF 30%” 등 초고위험 구조는 규제 취지와 충돌 가능.

5) 세금 FAQ(2025)

  • IRP 내 운용수익은 과세이연 → 연금 수령 시 3.3~5.5%.
  • 2025.1.1. 해외 배당 선환급 폐지 → 즉시 공제로 변경(복리 영향 존재).
  • 55세 이전 중도인출은 16.5% 기타소득세 + 혜택 환수 위험.

6) 실전 체크리스트

  1. 증권사 IRP 개설 → ETF 라인업·체결 편의 우위
  2. 투자성향 진단 → 상품 위험등급 매칭
  3. 자동적립일·리밸런싱 주기(6~12개월) 설정
  4. 안전자산 30% 상시 점검(주가 상승 시 비중 초과 주의)
  5. TDF 규정·세제 공지 분기별 점검

 

반응형